[물리실험]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
- 실험 기구 & 설명
위의 <사진1>은 우리가 이번 실험에서 사용할 광전 효과 실험기구를 찍은 사진이다. 위에서 보듯이 수은등과 감지기를 적절한 각도로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파장의 빛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아래에 보이는 디지털 멀티 미터를 통해서 전압을 측정해서 함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실험 결과 치를 구할 수 있다.
단면으로 위의 구멍은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곳이고, 아래의 구멍에 위의 그림과 <사진2>는 감지기의 같이 연결해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운데 빨간색 버튼은 “0”점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험 전에 배터리의 양이 충분한지 꼭 확인을 해야한다. 이는 위의 구멍을 통해서 전압을 측정했을 때 18V가 넘게 나오는지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사진3>은 수은등을 통해서 나온 빛이 슬릿을 통해서 나오게 만들어진 장치이다. 그런데 앞 쪽에 보면 동그란 유리가 있는데, 이것이 슬릿을 통해서 나온 빛을 분광시켜서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여러 곳에서 빛이 관찰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쉽게 생각해서 회절을 시켜서 빛이 파장에 따라서 퍼지게 해 주는 역할을 해준다고 볼 수 있다.
<사진4>는 이번 실험에서 Stopping Potential에 이를 때 까지 이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사진5>는 이번 실험에서 사용되는 슬릿이다. 첫 번째 슬릿의 경우에는 빛의 통과랑을 20%단위로 조절시켜주는 슬릿으로 첫 번째 실험에서만 사용된다. 그리고 두 번째, 세 번째 슬릿은 각 각 노란색과 녹색 파장의 빛을 걸러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색의 슬릿은 왜 없는 지가 의문이다. (원래 없는 것인지, 아니면 없어진 것인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사진6>은 슬릿에서 나온 빛이 분광을 통해서 회절을 일으킨 다음, 감지기에 있는 스크린에 맺힌 모습이다. 지금의 경우에는 파란색 빛이 감지기로 들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비교적 불연속적으로 여러색의 빛이 나타나므로 슬릿에 한 색의 빛만을 넣는 것이 비교적(?!) 쉬웠다.
<사진7>은 분광된 빛이 한 개가 아니라 여러 개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종이로 주위를 감싸,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결과 한 방향으로 3개씩 총 6개로 나눠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실험 결과 & 고찰
<실험1- Part A>
Yellow | (%) Transmission | Stopping Potential | Approx. Charge Time |
100 | 0.76 V | 14.69 sec | |
80 | 0.76 V | 15.13 sec | |
60 | 0.76 V | 21.00 sec | |
40 | 0.75 V | 35.00 sec | |
20 | 0.72 V | 40.00 sec | |
Green | (%) Transmission | Stopping Potential | Approx. Charge Time |
100 | 0.88 V | 12.45 sec | |
80 | 0.88 V | 17.47 sec | |
60 | 0.87 V | 26.00 sec | |
40 | 0.86 V | 24.00 sec | |
20 | 0.83 V | 28.25 sec |
; Stopping Potential은 파장이 짧은 Green의 경우가 Yellow에 비해서 더 크게 측정이 되었다. 그리고 빛의 세기를 감소시켰을 경우, 큰 폭의 차이는 아니었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띄었다. 그런데 시간을 측정한 경우에는....위에 빨간 선으로 표시된 24.00sec의 경우는 우리의 예상에서 조금 빗나간 결과 였다... 60%에서 40%로 빛을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더 짧은 시간이 측정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실험 해보았지만, 유사한 결과가 나와서 왜 이렇게 측정되었는 지 단순히 결론 짓기가 힘들다.
<실험1- Part B>
Light Color | Stopping Potential |
Yellow | 0.70 V |
Green | 0.89 V |
Blue | 1.29 V |
Violet | 1.63 V |
; 위의 표에서 아래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지는 즉 , 진동수가 커지는 빛이다. 이러한 빛일 수록 큰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Stopping Potential이 커지게 된다. ( E= hv-Wo)
여기서 중요한 점은, Stopping Potential은 빛의 세기가 아닌 빛의 진동수에 따라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실험2> 에너지의 파장과 주파수 사이의 관계
First Order Color | Wavelength (nm) | Frequency(1014Hz) | Stopping Potential (V) |
Yellow | 578 | 5.18672 | 0.56 |
Green | 546.074 | 5.48996 | 0.59 |
Blue | 435.835 | 6.87858 | 0.78 |
Violet | 404.656 | 7.40858 | 1.35 |
Second Order Color | Wavelength (nm) | Frequency(1014Hz) | Stopping Potential (V) |
Yellow | 578 | 5.18672 | 0.47 |
Green | 546.074 | 5.48996 | 0.53 |
Blue | 435.835 | 6.87858 | 0.67 |
Violet | 404.656 | 7.40858 | 0.86 |
Third Order Color | Wavelength (nm) | Frequency(1014Hz) | Stopping Potential (V) |
Violet | 404.656 | 7.40858 | 0.73 |
; 우리 조의 경우에는 실험 오차가 조금 많이 난 듯하다. Violet만 비교해 보아도, 세 곳에서 관측되는 Stopping Potential이 거의 일치해야하는 데 차이가 많이 났다. 이는 1번 실험에서 빛의 양을 20%까지 줄였을 때는 전압이 낮게 측정되는 것과 유사한 현상인 것 같다. 이론적으로는 동일하게 측정이 되어야 하지만, 실제 실험의 여러 변수 때문에 그러하지 못했던 듯 하다. 전반적으로 첫 번째 빛에서 두 번째 빛으로 갈수록 전압이 낮게 측정되었다.
그래서 위의 데이터를 통해서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경우에 First Order Color들을 이용해서 하겠다. (이것이 가장 정확하게 측정된 데이터 인 것 같아서...)
Color | Frequency(1014Hz) | Stopping Potential X e (10-20V) |
Yellow | 5.18672 | 8.92 |
Green | 5.48996 | 9.45 |
Blue | 6.87858 | 9.75 |
Violet | 7.40858 | 21.62 |
;위의 데이터는 U=qV의 공식에 입각하여, 우리가 구한 전압에 전하량을 곱해서 그 전하의 에너지를 구한 값이다. Yellow,Green,Blue는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Violet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런데 이 실험에서 조금 의문점인 점은 노란색과 녹색 빛의 경우에는 그 색의 슬릿을 씌워서 주변의 파장의 빛은 제거하고 거의 단일 파장의 빛만 들어오게 하는 데 반하여, 다른 파장의 빛은 그냥 통과를 시켜버린다. 이렇게 되면, 비교적 넓은 범위의 파장이 감지기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이렇게 되더라도 크게 상관이 없을 것 같지만, 실험적으로 볼 때 빛의 양이 많을수록 작지만 더 높은 전압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굳이 일부 파장의 빛에만 슬릿을 씌워서 실험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플랑크 상수 구하기!!
h= (Stopping Potential X e)의 변화량 / Frequency 의 변화량
1.Green~Yellow : 1.77 X 10-34
2.Ultraviolet~Blue : 22.39 X 10-34
실제 플랑크 상수는 6.626 X 10-34 이다. 우리과 구한 값은 이 값을 전후로 해서 측정되었는데, 비교적 스케일은 유사했기 때문에 의미있는 실험이 된 것 같다. 그렇지만 좀 더 근접하지 못한 점이 아쉽고, 실험 오차는 다른 빛의 관여와 위에서 언급했듯이 실험 장치 자체가 정밀하지 못한 점 때문일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우리 눈으로 녹색과 노란색등 색을 구분할 때 개인차에 의해서 색도 조금씩 다른 부분을 측정하게 되므로, 이론적으로 녹색파장이라고 정의한 부분을 우리가 측정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일함수를 구해서 Photodiode의 금속을 추측해보자!!
우리 조의 실험 결과 Wo는 0.7~0.8 eV정도였는데, 이 결과는 발표 조에서 제시한 금속별 일함수와 비교해봤을 때 일치하는 금속을 찾을 수가 없었다.
2021.09.27 - [물리실험] Geometrical Optics (기하학 광학실험)
2021.09.29 - [물리실험] Microwave Optics (마이크로파 광학실험)
'여기는 과학실 > 과학실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실험] 정상파 실험 (0) | 2021.10.02 |
---|---|
[물리실험] 자이로스코프 세차 운동(Gyroscope) (0) | 2021.10.01 |
[물리실험] Microwave Optics (마이크로파 광학실험) (0) | 2021.09.29 |
[물리실험] Geometrical Optics (기하학 광학실험) (0) | 2021.09.27 |
[물리실험] 광통신 실험 (0)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