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학56 4-4.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 Part.4 이공계 인재의 의무와 비전 4-4.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 13억 7천만 명 (중국) 12억 7천만 명 (인도) 2억 4천만 명 (인도네시아) 1억 9천만 명 (파키스탄) 1억 6천만 명 (방글라데시) 1억 3천만 명 (일본) 1억 명 (필리핀) 9천만 명 (베트남) 5천 만 명 (대한민국) 이 인구를 모두 합하면 얼마나 될까요? 무려 36억명이 넘습니다. 지구 전체의 인구가 70억명이라고 하니, 아시아 주요 국가의 인구를 합하면, 50%가 넘어가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아시아에는 이것보다 더 많은 나라들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시아 인구는 전 세계의 60%를 차지하는 엄청난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세기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유럽은 막대한 부와 권력을 차지했습니다. 곧 1.. 2021. 5. 9. 4-3. 기업가정신을 길러라 Part.4 이공계 인재의 의무와 비전 4-3. 기업가정신을 길러라 2014년 9월, 중국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Alibaba)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주식을 상장하는 첫 날, 주식 가격이 급등해 시가 총액에서 페이스북을 따돌리고 구글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馬雲, 50) 회장은 지난 ‘15년 동안 지나 온 길에는 참으로 어려움이 많았다’고 창업 과정을 회고하면서, ‘우리가 가져갈 것은 돈이 아니라 고객에 대한 신뢰, 부담, 책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마윈의 성공 신화는 수많은 젊은이와 예비창업자에게 도전과 혁신의 정신을 불어넣었으며, 그가 말한 ‘신뢰, 부담, 책임’이라는 단어는 우리로 하여금 기업가정신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줍니다.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고 이.. 2021. 5. 9. 4-1. 이공계의 책임과 윤리의식 Part.4 이공계 인재의 의무와 비전 4-1. 이공계의 책임과 윤리의식 인류 역사의 긴 여정에서 과학은 가치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학문인 것처럼 생각되어 왔습니다. 자연과 사물을 대상으로 고유 불변한 원리와 법칙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것은 영원 불변한 것이어야 했습니다. 과거 인간이 지구가 회전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을 때, 인간은 태양을 포함한 우주가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주장을 천동설이라고 합니다. 그런 지구 중심의 세계관은 수천 년 동안 인간을 잘못된 고정관념 속에 갖혀 지내도록 만들었습니다. 코페루니코스, 갈릴레이 등에 의해 지동설이 자리잡기까지 수 천년이 걸렸습니다. 과학은 항상 영원 불변한 것이라는 생각은 옳지 않습니다. 과학은 그 시대 사람들에 의해 합의.. 2021. 5. 9. 3-10. 영재가 아닌 '창재'가 되어라 Part.3 이공계 인재가 되는 법 3-10. 영재가 아닌 '창재'가 되어라 A. J. 토인비, [역사의 연구] 한 시대의 변화를 충족하는 아이디어와 방법은 창조적 소수로부터 온다. 이런 이들에 의해 발전되어온 이상과 방법은 다수에 의해 복제되어 널리 퍼진다. 그런데 한 번 성공한 이 창조적 소수들은 자신들이 성공한 방법을 모든 곳에 다 통하는 절대적 진리인양 착각하게 된다. 토인비의 말에서처럼 성공한 창조적 소수들도 착각에 빠지게 됩니다. 자신의 성취에 도취한 나머지 자신들의 진리가 절대적인 것으로 착각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 모습의 단면은 우리 나라 영재교육에서 나타납니다. 우리 나라 영재교육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습니다.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공포된 이후 영재교육대상자는 가파르게 증가했지요.. 2021. 5. 9.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