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중점학급] 과연 내신성적 유리할까? 불리할까?
과학중점학교에 실제로 근무했던 선생님이 알려주는 정확한 정보!!
과학중점학교를 다니면, 어떤 점이 유리할까?
- 각종 인터뷰 출처 :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재림, 이현서, 韓國敎育·綠色環境硏究院學術誌 第16卷 第3號 2017.12.)
2021.06.16 - 남보다 먼저 시작해라 (1만시간의 법칙)
<장점1> 수준 높은 심화수업을 받을 수 있다.
과학중점반을 맡는다는 것 자체로 스트레스를 받는 선생님들이 많다. 비교적 성적이 높은 학생 집단으로 반이 꾸려지기 때문에 수업하는 내용의 수준에 각별히 신경써야 하기 때문이다. 학생 입장에서 보면, 더 높은 수준의 수업을 받을 수 있으니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수학, 과학 분야의 심화 과목 수업을 받을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고급수학 시간에 미적분을 배울 때 고등학교에서는 심화과정, 대학교 기초과정 수준이요. 근데 애들이 그 과목을 은근 좋아해요. 수능 공부는 했던 거, 복습하고 계속 그러는 거잖아요. 반복만 해서 지루했는데 뭔가 새로운 거를 배우니까요. (학생 인터뷰)
<장점2> 친구들의 관심사가 비슷하고, 과학중점반 수업 분위기가 좋다.
나도 과학중점반(과중반) 수업을 해봤지만, 확실히 수학, 과학에 관심이 높은 학생들이 모인 탓인지 집중력도 높고 열정이 다르다. 결국 수업 분위기가 좋다고 할 수 있다.
- 이해가 안 가면 과중반은 서로 서로 물어보면서 협력학습이 잘 되요. 계속 토론 해가지고 결국에는 결론이 나와요. 최종 답이 안 나오면 선생님한테 가지만 그 전에 보통 다 끝나버리거든요. 그렇게 공부할 수 있는 과중반이 좋은 것 같아요. (학생 인터뷰)
2021.06.15 - 5-2. 꿈의 크기는 스스로 결정한다.[부모교육]
<장점3> 선생님이 진학지도에 집중할 수 있어서 입시 결과가 좋을 가능성이 높다.
- 최상위권 학생들이 모여 있다 보니 수업 분위기도 좋고 서로 경쟁을 하다보니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 같아요. 학생들 성적, 희망 전공도 비슷해서 담임이 몇 개 대학에 진학지도를 집중해서 할 수 있어서 과중반 입시 결과가 계속 좋아요. 계속 과중반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교사 인터뷰)
선생님 입장에서는 과학중점반 학생들의 진로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진로 및 진학 지도를 하는데 장점도 있다. 진로가 다른 학생을 상담하는 것보다 관심이 유사한 학생들이 모여있다보니, 서로서로 정보도 공유하고 담임 입장에서도 상담하기가 매우 수월하다.
<장점4> 각종 교내 비교과 활동의 지원을 많이 해 준다. 결국 생활기록부에 기록되는 것이 많다.
교육청으로부터 과학중점반 운영 예산을 지원받기 때문에, 각종 캠프, 동아리활동 등 돈이 필요한 활동의 지원이 풍부하다. 과학중점반 학생들에만 예산을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다른 학급 대비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이 많다. 선생님 입장에서는 수업 외에 이런 것들도 신경을 써야하니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 과중반 캠프 같은 경우에도 다 전액 무료로 가는 거거든요. 행사 같은 거 과학 동아리에서 할 때도 비용을 다 대줘요. 동아리마다 한 20만 원씩 정해서 처음에 학기 시작하면 필요한 물품을 각 동아리에서 적어서 내라고 그래요. 그 스펙트럼 실험 같은 기구 하 나에 필름 몇 개 갖다놓고 거의 10만 원씩 받는데 진짜 비싸요. (학생 인터뷰)
- 과학중점학교 업무라는 것이 공문만 처리하는데 시간이 다가요. 물론, 저희 부서에 업무 담당자가 있어요. 그런데 담임을 맡고 계시니까 거의 대부분은 부장인 제가 다 해요. 그리고 계획서, 예산, 보고서 등의 잡다한 업무가 너무 많아서 저희 부서는 선생님들이 기피하는 부서에요. (교사 인터뷰)
2021.06.06 - 4-2. 스펙보다는 스토리를 만들어라
<장점5> 높은 수준의 체험교육, 대학 견학 및 캠프, R&E 연구활동 등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공계열 대학 및 학과에 방문하여 체험하거나, 각종 캠프에 참여할 수 있다. 원하는 학교를 미리 방문하여 상담을 받을 수도 있고,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모두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하자. 성적 순, 선착 순 등등 기회에 골고루 나누어지지는 않는다.
- 2학년 때 포스텍에 갔다 왔어요. 과중반 애들 전부 다 1박 2일로요. 거기 가서 과학 관련 시설도 보고 그런 거였어요. 입자가습기 케이스가 있어서 그거 좀 관람하고, 그렇게 특별한 건 없었던 것 같아요. 약간 쉬는 개념으로 갔다 온 느낌이어서요. 활동으로 생기부에 기재된 것 같아요. (학생 인터뷰)
<장점5> 과학중점전형으로 대학을 갈 수 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SKY만을 고집하지 않는다면, 과학중점전형(주로 수시)으로 원하는 학과에 쉽게 들어갈 수 있다. 다른 전형에 비해 과학중점전형은 경쟁률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KAIST만을 꼭 고집하지 않는다며, UNIST, GIST, DGIST 등은 과학중점반 출신 학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 대학을 갈 때는 이제 과학중점 전형은 경쟁률이 좀 낮고요. 대학에서 논술 볼 때 과학적 지식이 있으면 문제 푸는데 도움이 되죠. 그리고 중앙대는 과학중점 학급 전형이 따로 있어요. 그런데 우리 애들은 중앙대를 안가려 하죠. 우리 학교 현재 눈높이에서는 스카이를 원하니까요. 왜냐하면 애들이 수능 성적으로 정시로 가기 때문에 입학사정관제 이런 전형은 불리 하죠. (교사 인터뷰)
과학중점학교를 다니면, 어떤 점이 불리할까?
<단점1> 우선 과학, 수학 등 일부 교과목 내신 성적을 잘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른 이과반 학생들과는 달리, 과학중점반 만 수강하는 수업이 있고, 과학중점반 학생들끼리만 내신성적을 산출하기 때문에 몇몇 교과목 내신성적을 잘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진로선택 교과가 아닌, 일반 선택 교과라면 성취평가제가 아니라, 9등급으로 내신성적을 산출하기 때문이다. 1등급은 오직 상위 4%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수가 줄어들수록 1등급 비중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1등급을 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 기억하자.
- 과학중점학교라고 하면 뭔가 교육과정이 과학고처럼 일부분이 반영이 되어 가지고 수업 시간에 실험하고 보고서 쓰고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질 줄 알았어요. 그런데 사실상 교육과정에서 과목이 조금 다른 거 말고는 없습니다. 2학년, 3학년 동안 7개 정도 과목이 조금 다른데 성적을 같이 낼 수 없기 때문에 이 때도 두 학급만 내신을 내야해서 불리할 수 있지요. (교사 인터뷰)
- 상위권이 굉장히 촘촘해서 1등급이 일단 한 명이니 까 누가 100점을 맞으면 끝나는 거잖아요. 1등급이, 그래서 정신을 차릴 수밖에 없는 거예요. (학생 인터뷰)
<단점2> 잘 적응하지 못한다면, 되돌리기 힘들다.
다른 학급과는 다른 교육과정, 즉 다른 교과목을 배우기 때문에 중간에 그만두기가 힘들다. 주로 고2부터 교과목이 세분화되고, 다른 학급과 달라지는데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포기하기는 힘들어진다. 그래서 단순히 과학중점반의 장점만을 생각하고 덜컥 지원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따라서 내가 얼마나 수학, 과학에 관심이 높은지? 잘 이겨낼 수 있는지 등을 꼼꼼히 체크하지 않는다면, 실패할 수도 있다.
2021.05.11 - [자기소개서 쓰는 법] 자기소개서는 어떻게 써야할까?
그래서, 과연 과학중점학급에 들어가는 것이 좋을까?
결국 나 자신의 특성을 잘 돌아보고 결정해야 한다. 위에 제시한 장점과 단점을 충분히 살피면서 과학중점반이 과연 내게 유리할지, 불리할지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 결국 주변 조언에 너무 흔들리기 보다는 나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판단하고 결정할 것을 추천한다.
2021.05.11 - 5-2. 이공계 학과 선택, 어떻게 할까?
'교육에 대한 이야기 > 이것저것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회 및 공모전] 각종 과학기술 분야, 이공계 진로 학생이 참여 가능한 대회와 공모전 (0) | 2021.07.11 |
---|---|
[생각꺼리] 사근진 해수욕장에서 배울 점 (0) | 2021.07.05 |
[대입]46년간 38번이나 바뀐, 혼란스런 대학 입시제도 (0) | 2021.06.03 |
[창의적사고기법] 페르미추정이란? (0) | 2021.05.12 |
[교육에세이]동아리 활동의 중요성 (0) | 2021.05.11 |